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차세대 손길로 잊혀진 역사 되살린다

잊힌 채 아무도 돌보지 않던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들 묘소에 차세대의 따뜻한 손길이 닿았다.   미주중앙일보,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이 공동 주관하고,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하는 독립 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가 지난 24일 LA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에서 진행됐다.   1901년 문을 연 이곳은 LA에서 가장 오래된 공동묘지 중 하나다. LA한인역사박물관이 현재까지 파악한 것에 따르면 31명의 미주 한인 독립유공자가 이곳에 잠들어있다.   이날 화랑 청소년 재단 소속 학생 39명은 이 가운데 27기의 묘소를 찾아 묵념하고, 비석을 닦고 태극기를 꽂았다.     화랑청소년재단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독립 유공자들의 묘소를 3인 1조로 매달 정기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날 행사는 단순한 봉사를 넘어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 의식을 일깨우는 교육의 장이었다. 학생들은 손으로 비석을 닦으며 생생한 역사를 체험하는 모습이었다.   화랑청소년재단 학생 대표 김동건(18) 군은 “현장에서 역사를 직접 경험하니 더 깊게 와 닿았다”며 “한국으로 송환되지 못하고 미국 땅에 잠든 이들을 누군가는 기억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참여했다”고 말했다.   안젤라 이(16) 양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정신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며 “그들 덕분에 지금 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많은 학부모도 자녀와 함께 묘소를 돌보며, 살아있는 역사 교육에 동참했다.   학부모 정미나 씨는 “예전에 아이가 도산 안창호 선생 이야기를 듣고 ‘도산이 성이냐’고 물었을 정도였다”며 “아이들의 뿌리 교육을 위해 어른들이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자녀인 알렉시스 이 학생과 함께 온 제이미 이 씨도 “미국에서 자란 아이들은 한국 역사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다”며 “이런 체험을 통해 민족정신을 배우고 자긍심도 갖게 된다”고 행사의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독립 유공자 묘소의 지속적 관리와 추가 발굴, 그리고 한국 국립묘지 안장이다.       화랑청소년재단은 미확인 유공자 묘소 파악을 위해 지속적으로 조사를 진행중이다. 위치와 신원을 기록해, 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화하고 이장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박윤숙 화랑청소년재단 총재는 “단발성 행사가 아닌, 매달 이어지는 정례 활동으로 만들 것”이라며 “비석을 닦고 태극기를 꽂는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민족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   박 총재는 또 “미국 국가만 부르던 아이들이, 이제는 애국가를 더 크게 부르는데 가사의 뜻과 역사적 의미를 스스로 체감한 결과”라고 덧붙였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클라라 원 이사장은 “그동안 이 묘역은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아 찾는 이도, 설명해주는 이도 없이 오랫동안 방치돼 있었다”며 “독립 유공자 묘소에 담겨있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설명하는 역할을 차세대가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민병용 LA한인역사박물관 관장이 각 묘역 앞에서 학생들에게 독립운동가의 생애를 직접 설명했다. 민 관장은 한인 이민사와 독립운동사 자료를 꾸준히 수집하고 정리해왔다.   민 관장은 “아직 찾지 못한 유공자들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이런 활동을 하는 단체조차 드물고, 대부분 고령자 중심이라 한인 사회는 물론 한국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발걸음이 끊겼던 묘소에 후손들이 잡초를 걷어내고 묘비를 닦았다. 그 위로 태극기가 꽂히자 잊힌 역사에 다시 생기가 돌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차세대 손길로 잊혀진 역사 되살린다 다음 세대가 역사 모르는 건 어른들 잘못 독립운동 선조 삶 찾아 후세에 들려줘야 [알림] 광복 80주년, 독립 유공자 묘소 찾는다 LA로즈데일묘지=강한길·송영채 기자독립유공자 화랑청소년재단 학생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송영채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뱅크오브호프 역사 교육 차세대 로즈데일 묘소

2025-05-26

독립운동 선조 삶 찾아 후세에 들려줘야

시간이 흐를수록 잊히고 있는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들의 묘소엔 이야기가 스며 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클라라 원 이사장은 2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묘소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들려줬더니 눈물을 흘리는 학생들도 있더라”며 “하루에 10시간씩 일하며 한 달에 26불 남짓한 돈을 벌어 조국에 독립운동 자금을 보냈던 선조들의 이야기는 그래서 계속 후세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이사장은 이를 위해 ‘다리’ 역할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이 화랑청소년재단(총재 박윤숙)과 손을 잡고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 묘소 관리 및 실태 조사를 진행하기로 한 이유다.     원 이사장은 “약 3년 전부터 차세대에게 뿌리 교육을 통해 역사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왔다”며 “지난 삼일절에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방치되고 있다는 중앙일보 기사를 계기로 이번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첫 작업은 오는 24일 오전 9시 30분 LA 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1831 W Washington Blvd)에서 진행된다. 이 묘지에는 현재 31명의 독립유공자가 안장돼 있다. 〈본지 3월 3일자 A-1면〉     관련기사 사라지는 미주 한인 독립운동사…1세 고령화, 차세대 무관심 대한인국민회 측은 이날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학생들과 함께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찾아다니며 묘비를 닦을 계획이다. 또,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3인 1조’ 형태로 학생들에게 담당 묘비도 지정해 줄 계획이다.   원 이사장은 “작은 성조기와 태극기에 각 묘소를 담당할 학생들의 이름을 새겨 앞에 꽂아놓을 계획”이라며 “담당하던 학생들이 대학에 가더라도 또 다른 화랑재단 청소년들이 그 자리를 메워 묘소가 계속 관리될 수 있게 시스템화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인국민회 측은 로즈데일 묘지 외에도 앞으로 할리우드포리스트론, 글렌데일포리스트론, 잉글우드 묘지 등 LA 인근 묘지에 안장돼 있는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학생들과 함께 관리할 계획이다.     원 이사장은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등 전국 곳곳에 아직도 파악이 안 된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많다”며 “한인 사회가 함께 우리의 소중한 역사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원 이사장은 한인 단체 및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당부했다. 또한, 미주 지역에서 이루어진 독립 운동 역사와 관련해 교육과 홍보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솔직히 나도 대한인국민회에서 활동하기 전까지 미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등 보석 같은 역사가 아렇게 많았는지 전혀 몰랐다”며 “한인들이 우리의 역사에 대해 무관심한 부분이 많은데, 이번 프로젝트가 역사 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발화점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미주중앙일보,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이 주관하고, 한인 은행권 최초의 리저널 뱅크이자 최대 한인 은행인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한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클라라 완료 대한인국민회 클라라 역사 의식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2025-05-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